반응형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다.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자공(子貢)이 어느 날
스승인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貧而無諂],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富而無驕],
그건 어떤 사람일까요?"
"좋긴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貧而樂道],
부자가 되더라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느니라[富而好禮]."
공자의 대답에 이어 자공은 또 이렇게 물었다.
"『시경(詩經)』에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상아(象牙)를 잘라서 줄로 간 것[切磋]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모래로 닦은 것[硏磨]처럼
밝게 빛나는 것 같다'고 나와 있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일까요?"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자공(子貢)아,
이제 너와 함께《시경》을 말할 수 있게 되었구나.
과거의 것을 알려주면 미래의 것을 안다고 했듯이,
너야말로 하나를 듣고 둘을 알 수 있는 인물이로다."
반응형
'고사성어&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易子敎之 (역자교지) (0) | 2023.01.02 |
---|---|
木人石心 (목인석심) (0) | 2023.01.02 |
畵蛇添足 (화사첨족) (0) | 2023.01.02 |
投鼠忌器 (투서기기) (0) | 2022.12.29 |
轍鮒之急 (철부지급)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