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사자성어

易子敎之 (역자교지)

Zyss 2023. 1. 2. 22:32
반응형

바꿀역 / 아들자 / 가르칠교 / 어조사지



자식을 서로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


맹자의 제자 공손추가 물었다.
"군자가 자기 아들을
직접 가르치지 않는 것은 어떤 이유입니까?"

공손추는 공자가 하나밖에 없는 아들을 
직접 가르치지 않았음이 궁금해 물었다.

맹자가 말하기를
"형편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다.
가르치는 사람은 반드시 바르게 하라고 가르친다. 
바르게 하라고 가르쳐도 
그대로 실행하지 않으면 자연 노여움이 따른다. 

그러면 도리어 부자간의 정이 상하게 된다. 
이에 자식은 아버지는 나를 바르게 하라고 가르치지만 
아버지 역시 바르게 못한다고 느낀다. 

그러기에 옛날 사람들은 자식을 서로 바꿔 가르쳤다. 
부자간에는 잘못했다고 책하지 않는 법이다.  
잘못을 꾸짖으면 서로 정이 난다.   
정이 멀어지면 그보다 더 큰 불행이 어디 또 있겠는가?" 라고 답했다.  

스승도 자기 자식은 못 가르친다는 말이다. 
즉, 자기 자식을 직접 가르치면
부자지간에 서로 노여움이 생기고
감정이 상하게 되는 등 폐단이 많아지므로
다른 사람과 서로 자식을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으로 쓰인다.

 


사이버백과 고사성어

반응형

'고사성어&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伯牙絶絃 (백아절현)  (0) 2023.01.02
無大疑者無大覺 (무대의자무대각)  (0) 2023.01.02
木人石心 (목인석심)  (0) 2023.01.02
切磋琢磨 (절차탁마)  (0) 2023.01.02
畵蛇添足 (화사첨족)  (0)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