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어려워 보이는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 이룰 수 있다.
태행산(太形山)과 왕옥산(王屋山)은 사방 700리에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 큰 산이며, 기주(冀州)의 남쪽과
하양(河陽)의 북쪽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북산(北山)에 우공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나이가 90세였으며, 이 두 산을 마주 보고 살았습니다.
산 북쪽은 통행을 할 수 없게 막혀 있어서
거기를 지나려면 멀리 돌아 가야 했습니다.
어느 날,
우공은 가족들을 모아 놓고 좋은 방법을 의논하면서 말하기를,
"내가 너희들과 함께 험한 두 산을 평평하게 만들어,
예주(豫州) 남쪽으로 바로 길이 통하고,
한수(漢水)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고 싶은데
너희들의 생각은 어떠하냐?"
대부분 그의 말을 따르겠다고 했지만,
우공의 아내는 의문을 제기하였습니다.
"당신의 힘으론 작은 언덕도 깎아내지 못했는데
태행산과 왕옥산을 어떻게 해낸단 말입니까?
더구나 파낸 흙과 돌은 어디다 버린단 말입니까?
그러자 모두들 말하기를,
"발해(渤海)의 끝과 은토(隱土)의 북쪽에 버리면 될 것입니다."
우공은 아들과 손자를 데리고 가서 돌을 깨고 ,
흙을 파서 나르기 시작했습니다.
이웃에 사는 과부 경성씨도 칠팔 세 된 어린 아들을 보냈는데,
통통 뛰어다니면서 도왔습니다.
겨울에서 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는 동안 한차례 왕복을 하였습니다.
하곡(河曲)에 사는 지수(智叟)라는 사람이 웃으면서
그 일을 말리며 말했습니다.
"당신의 무지함이 이루 말할 것 없소.
보아하니 살 날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은데,
내가 보기에 풀 한 포기 뽑기도 어려울 것 같소,
도대체 흙과 돌을 어떻게 할 생각이오?"
우공이 그 말을 듣고 길게 한숨을 내쉬며 말했습니다.
"당신의 생각이 막혀있어 통하지를 않으니,
과부네 어린아이만도 못하구려.
내가 죽더라도 내게는 아들이 있고,
또 손자를 낳으며, 손자가 또 자식을 낳으며,
자식이 또 자식을 낳고 자식이 또 손자를 낳으면
이처럼 자자손손 끊이지를 않지만
산은 더 이상 커지는 것이 아닌데,
어찌 산이 평지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이오?"
지수는 대답할 말을 잃었습니다.
산신은 이 이야기를 듣고,
우공이 이 일을 그치지 않을까 두려워서,
이 사실을 옥황상제에게 고하였습니다.
그 말을 들은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두 산을 업어다가 하나는 삭동에 두고,
하나는 옹남에 두게 하였습니다.
이리하여 기주 남쪽과 한수의 남쪽에는 언덕조차 없게 되었습니다.
'고사성어&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飛不鳴 (불비불명) (0) | 2023.01.05 |
---|---|
破釜沈舟 (파부침주) (0) | 2023.01.05 |
兎營三窟 (토영삼굴) (2) | 2023.01.05 |
三顧草廬 (삼고초려) (0) | 2023.01.05 |
反哺之孝 (반포지효) (0) | 2023.01.05 |